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찌개? 찌게? 헷갈리는 맞춤법

by 행복한 오늘을 보내세요! 2025. 8. 27.
반응형

찌개? 찌게? 헷갈리는 맞춤법 한 번에 정리

1) 결론부터: 정답은 ‘찌개’

  • 맞는 표기: 찌개
  • 틀린 표기: 찌게
  • 이유: ‘찌개’는 고유어 명사로 굳어진 표준어다. ‘찌-’(찌다) + ‘-개’처럼 분석하지 않고 단어 자체를 통째로 표기한다.
  • 파생 예: 김치찌개, 된장찌개, 순두부찌개, 부대찌개(모두 붙여 씀)
 

비상금대출 신청 및 연장 - 카카오뱅크, 토스, KB

간편하지만 강력한 ‘비상금대출’의 모든 것소득 증빙 없이 1금융권에서 최대 300만 원까지 모바일로 즉시 이용 가능한 비상금대출! 신청 방법부터 금리인하권, 만기 연장·거절 대처법까지 꼼

your.issuekurly.co.kr

 


2) 음식·요리 관련 맞춤법 자주 틀리는 예

 

올바른 표기 틀린 표기 이유/팁
김치찌개 김치찌게 ‘찌개’가 표준
된장찌개 된장 찌개 요리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이 원칙적 경향
부대찌개 부대 찌개 관용 형태 고정
곰탕 곰 탕 단일어
삼겹살 삼겹 살 굳어진 음식명
카페 라테 카페 라떼(혼용되나 ‘라테’ 권장) 외래어 표기 원칙 반영
샌드위치 샌드위취 ‘치’로 표기

요리명은 ‘재료+찌개/탕/볶음/구이’처럼 붙여 쓰는 경우가 많다. 다만 ‘김치 볶음밥’처럼 관용적으로 띄는 예도 있으니 사전 확인이 안전하다.


3) ‘에/애’ 모음 혼동 정리

‘찌개’가 ‘찌게’로 잘못되는 가장 큰 원인은 ‘에/애’ 혼동. 헷갈릴 때는 사전형을 확인하거나 아래 예를 기억하자.

 

올바른 표기 틀린 표기
되레(도리어) 되려
애때문 X → 때문(‘애’ 불필요)  
내로라하는 내노라하는
헤매다 헤메다
되풀이 되뿌리

 


4) ‘되/돼’ & ‘됐/됬’ 끝장 정리

  • = ‘되어’의 준말.
    • 예) 돼요(=되어요), 안 돼, 잘돼
  • = 동사 ‘되다’의 어간/활용.
    • 예) 되다, 되니, 되면
  • 됐/됬: ‘됬’은 없음. 만 맞다.
    • 예) 됐어요, 잘됐네


5) 띄어쓰기 함정: ‘한번’ vs ‘한 번’ 외

 

구분 올바른 표기 설명
시도해 보라는 의미 한번 해 봐 ‘한번(부사)’
횟수(한 번, 두 번) 한 번 갔다 수 관형사+의존 명사
하지 마/돼 안 돼(요) 부정 부사 ‘안’ + 서술어 ‘돼’
상태·가능 안되다 ‘일이 안되다’는 붙여 씀
조금씩 쪼끔씩 표준어 ‘조금’
내내 내 내 부사 단어 하나

6) ‘맞히다’ vs ‘맞추다’·‘메다’ vs ‘매다’·‘들르다’ vs ‘들리다’

  • 맞히다(정답을 맞히다/주사 맞히다) vs 맞추다(시간·길이·조화 맞추다)
  • 메다(어깨에 메다) vs 매다(신발 끈을 매다/넥타이를 매다)
  • 들르다(가게에 들르다) vs 들리다(소리가 들리다/말이 들리다)
 

실업급여 신청, 조건등 총정리

실업급여는 갑작스러운 실직으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소득을 지원하고, 재취업을 돕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. 하지만 신청 절차, 자격조건, 수령금액, 알바 가능 여부 등 복잡한

your.issuekurly.co.kr

 


7) ‘헷갈리다’·‘설레다’·‘치르다’ 흔들리는 표준

  • 헷갈리다(O) / 헛갈리다(X)
  • 설레다(O) / 설레이다(비표준)
  • 치르다(행사를 치르다)(O) / 치루다(X)
  • 잠그다(수도꼭지 잠그다)(O) / 잠기다(문이 잠기다)(피동)

8) ‘곰곰이’·‘반듯이’·‘비로소’·‘얼마나’

  • 곰곰이 생각하다(부사 ‘-이’)
  • 반듯이 펴라(바르게) / 반드시(꼭)와 다름
  • 비로소 깨닫다 / 비로써(X)
  • 얼마나 예쁜가 / 얼마든지 가능하다(의미 구분)


9) ‘웬’ vs ‘왠지’ 한 방에 구분

  • 웬 떡이냐: ‘어찌 된’의 뜻 →
  • 왠지 모르게: ‘어찌 된지 모르게’ 굳어진 부사 → 왠지
  • ‘왠 떡’(X), ‘웬지’(X)

10) 생활밀착 종합 표(바로 찾아 쓰기)

 

카테고리 올바른 표기 헷갈리는 표기
음식 찌개, 김치찌개, 된장찌개 찌게, 김치 찌개
명령/부정 안 돼(요) 안돼(요)
시도/횟수 한번, 한 번 한 번(부사), 한번(횟수)
정답/조정 맞히다 / 맞추다 맞치다
착용/묶다 메다 / 매다 메다(끈), 매다(어깨) 혼동
이동/청각 들르다 / 들리다 들리다(가게에)
의식주 치르다 치루다
감정 설레다 설레이다
부사 곰곰이 / 반듯이 / 비로소 곰곰히/반듯히/비로써
기타 웬 / 왠지 왠/웬지

11) 헷갈림 방지 10가지 체크리스트

  1. 음식명은 붙여 쓰기를 우선 확인한다.
  2. ‘돼/되’는 **‘되어=돼’**로 대입해 본다.
  3. ‘됐/됬’은 만 인정.
  4. ‘한번’(부사) vs ‘한 번’(횟수) 문맥을 본다.
  5. ‘맞히다’는 정답/주사, ‘맞추다’는 조정/조화.
  6. ‘메다’는 어깨, ‘매다’는 .
  7. ‘들르다’는 경유, ‘들리다’는 청각.
  8. 부사는 대체로 ‘-히’보다 ‘-이’(곰곰이, 간편히는 예외).
  9. ‘웬/왠지’ 정형 표현을 통째로 외운다.
  10. 확신이 없으면 사전형을 먼저 찾고 문장에 적용한다.
 

키 크는 수술(사지연장술) 비용과 기간

키 크는 수술(사지연장술) 비용과 기간 총정리1. 서론키 크는 수술, 즉 **사지연장술(LLD: Limb Lengthening Surgery)**은 성장판이 닫힌 성인도 키를 늘릴 수 있는 의학적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최근

3.naverkurly.com

 


12) 자주 묻는 질문(FAQ) – 10문항

Q1. ‘찌개’와 ‘찌게’ 중 뭐가 맞나요?
A. ‘찌개’가 표준어입니다. ‘찌게’는 비표준입니다.

Q2. ‘김치 찌개’처럼 띄어 써도 되나요?
A. 보통은 ‘김치찌개’처럼 붙여 씁니다.

Q3. ‘안돼요’와 ‘안 돼요’ 차이가 있나요?
A. 명령/금지의 서술은 ‘안 돼요’가 맞습니다. ‘안돼요’는 잘못입니다.

Q4. ‘돼요/되요’ 중 무엇이 맞나요?
A. ‘돼요(=되어요)’만 맞습니다. ‘되요’는 틀립니다.

Q5. ‘됐어요/됬어요’ 중 맞는 표기는?
A. ‘됐어요’가 맞습니다. ‘됬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.

Q6. ‘맞히다’와 ‘맞추다’는 언제 쓰나요?
A. 정답·주사 = 맞히다, 시간·길이·조화 = 맞추다.

Q7. ‘메다/매다’ 구분 팁은?
A. 어깨에 ‘메다’, 끈·넥타이를 ‘매다’.

Q8. ‘들르다/들리다’는 어떻게 달라요?
A. 가게에 ‘들르다’, 소리가 ‘들리다’.

Q9. ‘곰곰이/곰곰히’ 중 무엇이 맞나요?
A. ‘곰곰이’가 표준입니다.

Q10. ‘웬/왠지’ 빠르게 기억하는 법?
A. ‘웬 떡’은 웬, ‘왠지 모르게’는 왠지로 굳어 기억하세요.


13) 마무리 요약

  • 찌개가 표준, 찌게는 비표준.
  • 음식명은 관용적으로 붙여 쓰는 경향이 강하다.
  • 일상에서 자주 틀리는 맞춤법은 패턴으로 익히고, 확신이 없을 때는 사전형 확인이 정답이다.
  • 본문 표·체크리스트를 즐겨찾기해 두면 실전에서 ‘헷갈림’을 빠르게 줄일 수 있다.
반응형